본문 바로가기
  • 하루하루 배워보자_ 뭐든
알림

니트족? 원주시 희망플랜 사업?

by ##$$??<<>> 2022. 8. 23.
반응형

동행을 위해 내미는 손

학교도 직장도 다니지 않는 니트족 문제가 매년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청년과 청소년을 위한 '희망플랜사업'이 원주시에서 진행 중입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봤습니다.

 

니트족?

 

니트족은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를 말합니다.

구직을 위한 교육, 훈련을 아예 거부한 상태를 말하는데, NEETNot in Ed ucation, Employment, Traingnig의 약자입니다.

매년 이 니트족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코로나가 찾아오면서 니트족 수는 역대 최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교육 격차 등이 커지면서 구직활동을 내려놓는 청년들의 비중이 늘고, 또 중고등 학생의 경우에도 니트의 위험이 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주변의 관심과 도움입니다.

그래서 원주시는 청소년과 청년의 빈곤의 대물림과 니트 예방을 위해서 희망플랜센터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원주시 지방 보조사업 중 매우 우수 평가를 받은 사업 중 하나가 '희망플랜센터' 사업입니다.

 

희망플랜센터?

 

원주에서는 2016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니트 예방사업을 지원 공모사업을 냈습니다.

이후 후원금모집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시비와 도비를 지원받고 있습니다.

전국에서 니트 청년들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이 남아있는 곳이 많지 않습니다.

희망플랜센터 사업은 원주 가톨릭 종합사회복지관의 노력으로 사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외부지원금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청년들을 위한 사업을 이어올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교육이나 취업에 어려움이 있는 청년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유용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지속적인 사업이 가능하게 하는 요소입니다.

희망플랜센터는 행정복지센터와 학교와 연계해서 대상자 발굴에 힘쓰고 있습니다.

희망플랜사업으로 교육비를 지원받거나 결식우려 대상은 식사 지원, 멘토링 서비스, 청년 인턴십, 자립역량강화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업이 진행되고 있나?

 

현재 80여명의 청소년, 청년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희망플랜사업의 대상은 14세부터 25세 사이의 청소년 혹은 청년들입니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한부모 가정 혹은 조손 가정에서 교육을 적극적으로 받기 어려운 학생들이 많습니다.

청소년들을 위해서는 진로를 탐색하고 설정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한 진로 프로그램과,, 가족과의 갈등이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가족 프로그램도 제공합니다.

특히 문화활동의 기회가 없어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어 가족과 함께 영화를 보거나 나들이 갈 수 있는 가족 문화탐방, 체험 등을 기획하기도 합니다.

부모님이 아이들의 상태를 알고 니트족이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부모교육이나 코칭을 제공합니다.

교육 격차가 커질수록 니트 청년이 될 확률이 높기에, 학원비와 같은 교육비 지원도 제공합니다.

청년들을 위해서는 원하는 분야에서 인턴 경험을 할 수 있는 인턴십 프로그램도 운영합니다.

 

실제로 어떤 사례가 있나?

 

한 청년은 고도비만에 다낭성 난소증후군으로 건강도 좋지 못하고 경제적 어려움이 있어 바깥활동에 대한 의욕도 없고 무기력하고 고립된 상태로 지내오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의뢰받고 희망플랜사업 대상자가 됐습니다.

월세가 수개월째 미납되고 기초수급권자이지만 자기 부담금이 없어 병원 가기를 꺼려했고 또 남동생이 사용한 핸드폰 게임머니 부채도 있었습니다.

희망플랜 사업으로 이 청년과의 상담을 진행해 검정고시를 지원하고 경제적인 어려움 해결에 힘썼습니다.

외부 복지재단과 연계해 위기가정생활 신청을 통해 경제적 어려움을 덜 수 있도록 하고, 원주지역자활센터의 자활근로신청을 하도록 했습니다.

여기서 한 자활근로급여로 부채를 갚도록 했습니다.

희망플랜에서 학원비를 지원받아 공부에 매진해 올해 검정고시에서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의료 문제는 원주 자원봉사 의료 모임인 원주 빈 의자 의사회에 연계해 치료를 받았습니다.

 

니트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지원을 받으려면 사업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사회에서 소외되지 않고 필요한 단계를 잘 거쳐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니트 청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도움이 이어지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