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것이 치킨집과 교회라는 우스개 소리가 있다.
그만큼 우리나라에는 엄청난 숫자의 치킨집이 영업을 하고 있다.
프라이드 와 양념이 치킨의 양대산맥으로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그러나 양념도 결국은 프라이드치킨에서 파생된 상품이다.
그래서 알아봤다.
프라이드 치킨 넌 어디서 왔니?
프라이드 치킨은 KFC가 원조?
많은 브랜드의 프라이드치킨이 있지만 그 원조는 어디일까 한 번 생각해 보면 kfc 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근데 kfc는 프라이드치킨을 대중화시킨 주역이긴 하지만 원조는 아니다.
프라이드 치킨의 유래는 미국 흑인 노예들로부터 나왔다.
재료가 잠길 정도로 기름에 깊이 넣고 튀기는 조리법을 중세 시대 지중해 유역을 이 조리법이 아라비아 상인 등에 의해 아프리카까지 전해졌다.
원래 미국에서 닭을 요리하는 방식은 오븐에 굽는 로스트 치킨이다.
구우면 육즙이 빠져서 줄어들기에 먹을 부위가 없는 날개, 발, 목 등 살이 없는 부위는 버리곤 했다.
이 부위들을 노예들이 주워 기름에 튀겨 먹은 것이 유래이다.
프라이드치킨이 흑인 노예의 음식이라고?
이미 아프리카에서 튀기는 방식의 조리법에 익숙한 흑인 노예들이었다.
또한 미국 켄터키는 돼지고기의 고향이라 불릴 정도로 양돈업이 발달해 버려지는 돼지기름이 많았다.
그래서 버려지는 돼지기름에 닭을 튀기는 요리는 노예들도 쉽게 조리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고 한다.
통째로 담가 튀기면 뼈째로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튀겼기에 고열량을 지닌 좋은 영양 공급원이 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튀기면 골수가 녹아 나와 감칠맛도 올라간다고 한다.
프라이드 치킨이 본격적으로 알려진 것은 백인과 동등한 시민권을 요구하는 1960년대 흑인 인권운동이 활발할 때였다.
미국의 흑인들이 그들만의 음식에 독자성을 부여하고자 소울 푸드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후 흑인들의 문화에는 소울이라는 단어가 붙기 시작했다고 한다.
소울 푸드라 부를 만한 이유는 흑인들이 프라이드치킨에 정성을 다했기 때문이다.
노예 제도가 합법이었던 때 흑인들에게 유일하게 사육, 조리가 가능했던 동물은 닭이었다.
노예 제도가 폐지된 후에도 흑인들은 재산이 없었기에 소를 키우기 위한 초지도 없고 돼지를 키우기 위한 사료를 구할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일하게 먹을 수 있는 최고의 단백질 공급원인 닭고기를 정성을 다해 튀겼고 어느 음식보다도 맛있게 요리했다고 한다.
이렇게 맛있어 보이는 음식은 당시 백인들은 입맛만 다시며 쳐다볼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물론 일부는 백인들도 먹었다고는 한다.

프라이드 치킨의 흥행?
프라이드 치킨이 널리 퍼진 것은 KFC 덕분이다.
커넬 샌더스는 당시 유행하던 기름에 푹 담가 조리하는 딥 프라이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잦은 연구를 통해 자신만의 프라이드치킨 조리법을 발명해냈다.
당시에는 11가지의 비밀 양념이 있다는데 기업 1급 비밀이었으나 2017년에 우연히 밝혀져 큰 파장이 있었다.
하넬 샌더스를 모태로 한 프랜차이즈가 설립되어 전 세계로 퍼져 흑인 노예의 소울 푸드가 전 세계인이 즐겨 먹는 음식이 된다.
한편 이러한 배경을 지니고 있기에 미국에서는 간혹 프라이드 치킨을 언급하며 흑인에 대해 인종차별적인 조롱을 하는 경우도 발생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프라이드 치킨의 발달?
이 프라이드 치킨이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많은 변모를 겪었는데 처음에 치킨은 전기구이 통닭으로 시작했다.
이후 1971년 식용유가 등장함으로써 닭은 통째로 튀긴 통닭 인기를 끌고 1984년 KFC가 한국에 들어옴으로써 조각 내 튀긴 닭이 대중화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프라이드 치킨은 종류도 워낙 많고 한국인 입맛에 맞게 여러 형태로 발전해 왔다.
그래서 지금은 프라이드 치킨의 원조라 할 수 있는 미국에서 한국식 프라이드치킨이 인기가 좋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코리안 프라이드 치킨의 특징인 튀김옷이 얇고 파삭파삭한 치킨을 캔디 치킨이라고 불린다.
이런 한국 스타일의 프라이드치킨인 캔디 치킨을 독립적인 음식으로 받아들인다고 한다.
'지식을 넓히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풍? 위험반원? (0) | 2022.09.05 |
---|---|
지역화폐? 지역사랑상품권? (0) | 2022.09.01 |
반려견에겐 독? (0) | 2022.08.26 |
하품 나는 얘기 하품은 왜 할까? (0) | 2022.08.20 |
뇌를 스스로 녹이는 생물이 있다고? 멍게야 대단하다. (0) | 2022.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