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하루하루 배워보자_ 뭐든
지식을 넓히자

하품 나는 얘기 하품은 왜 할까?

by ##$$??<<>> 2022. 8. 20.
반응형

갓 난 아기의 귀여운 하품

재미없는 영화를 보거나, 책을 보면 항상 하품을 한다.

재미없는 강의를 들으면 어김없이 하품이 찾아온다.

강사의 눈을 피해 입 다물고 조심스레 하는 하품은 하품을 하면서도 개운하지 않다.

밤새워 공부라도 하려고 하면 항상 하품이 먼저 나오면서 나의 의지는 쉽게 꺾여버린다..

도대체 하품은 왜 나오는 걸까?

그래서 알아봤다.

 

하품은 왜 하는 걸까?

 

하품은 인간뿐만 아니라 다른 포유동물에서도 관찰할 수 있는 흔한 반응이다.

하품하는 모습도 비슷한데 입과 코가 크게 벌어지면서 입으로 공기를 들이마시다가 크게 내뱉습니다.

매우 자연스러운 반사 행동이다.

이 과정에서 하암이라는 소리를 내기도 한다.

근데 하품은 졸리지 않아도 지루하지 않아도 한다.

다른 사람이 하품하는 모습을 봐도 하품이 나오기도 한다.

도대체 왜 하품을 하는 걸까?

인간의 모든 행동은 어떤 목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하품을 하는 목적에 관해서도 오래전부터 연구가 진행됐다.

결론부터 말해보면 아직 명확한 이유는 밝혀내지 못했다.

그래서 몇 가지 가설에 대해 알아봤다.

 

뇌에 산소가 부족해서?

 

그래서 다양한 주장이 존재하는데 잘 알려진 주장이 뇌에 산소가 부족해져서 산소를 공급받기 위해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주장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1987년 메틀랜드 대학교의 행동 신경 생물학자 로버트 프로븐이 진행한 실험은 피실험자에게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해주고 하품을 하는지 관찰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줬음에도 사람들은 하품을 했다.

즉 뇌에 산소가 부족해서 하품을 한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닌 것이다.

그럼 로버트 프로빈의 주장은 무엇일까?

로버트 프로빈은 하품의 목적이 신체 상태 변화를 주기 위한 행동 반응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관한 근거로 잠을 자고 일어나서 하품을 한다는 것이다.

 

송곳니를 드러낸 고양이의 하품

진화론적 관점에서의 주장?

 

이외에도 근거는 빈약하나 진화론적 관점에서의 주장도 있다.

하품하는 모습을 보면 입과 코 등이 팽창하는데 이 과정에서 송곳니가 있는 동물은 송곳니가 보인다.

이를 근거로 하품은 몸에서 주는 경고라고 한다.

그러니까 잠에 빠지지 않고 하품을 하는 이유는 정신 차리라는 의미라고 한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면 하품의 전염성도 설명이 가능하다.

서로 하품을 해서 송곳니를 보여주어 서로 위협을 주고 정신을 차리면 경계를 강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런 이유에서 인지 하품은 관계가 친밀한 사람이 했을 때 더 잘 따라 한다고 한다.

다만 인구 중 60에서 70% 정도만 다른 사람이 하품할 때 따라 하는 반응을 보인다고 한다.

 

뇌 온도 변화에 대응?

 

유력한 주장의 하나로 뇌 온도가 오르면 하품이 나온다는 주장이 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한 실험도 진행했다.

실험방법은 이마에 뜨거운 팩과 차가운 팩을 올려놓고 하품의 빈도를 비교하는 실험이었다.

결과를 보면 피실험자들이 이마에 따뜻한 팩을 올려놓았을 때 41%의 피실험자가 하품을 했고, 차가운 팩을 올려 놓았을 때 9%의 피실험자가 하품을 했다고 한다.

또 다른 실험도 있다.

실험용 쥐의 뇌에 초음파 장치를 삽입하고 관찰하는 실험이다.

결과를 보면 쥐의 뇌 온도가 0.1도 올랐을 때 하품의 빈도가 증가했다.

그리고 하품을 하자 뇌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과만 보면 하품을 했을 때 뇌 온도가 급격히 떨어졌다.

하품이 뇌 온도를 낮추는 원리는 크게 두 가지 정도가 있다.

원래 뇌의 온도는 일반 동맥 혈보다 0.2도 정도 높다.

따라서 하품을 해서 근육에 자극을 주고 혈액순환을 촉진해주면 0.2도 정도 낮은 새로운 혈액을 뇌에 공급해줄 수 있다.

이로써 뇌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또한 하품을 하면 입과 코 등이 확장하면서 호흡이 이루어지고 숨을 내뱉으면 온도 낮출 수 있다.

현재로는 이 이론이 가장 신뢰도가 높다.

 

어떤 연유로 하품을 하게 되는지도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그것보다는 하품이 나올 때 시원하게 하품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이다.

신체에서 필요로 하고 경고의 의미로 하품이 나오는 것이니 제대로 된 하품을 하자.

그것이 내 몸이 원하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