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원주시와 자원순환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소식입니다.
환경보호를 위해 단순히 쓰레기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폐기물 재활용으로 자원을 순환시키는 순환경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우선 자원순환, 순환경제의 필요성에 대해 좀 짚어보죠?
우리나라에서는 매일 무려 50만 톤의 쓰레기가 쏟아진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폐기물 중에도 특히 생산 과정과 처리 과정에서 환경오염이 심한 것은 페트병입니다.
국민 한 명이 1년간 버리는 페트병은 100개에 달합니다.
코로나 이후로 일회용 폐기물이 늘면서 폐기물 문제가 풀리지 않고 있는데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려면 소비자와, 생산자, 수거 업체 그리고 정부 모두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바로 '순환경제 '인데 지금처럼 자원을 끊임없이 쓰고 쓰레기를 만들어내는 게 아니라 한번 만들어진 자원을 버리지 않고 계속 사용하는 겁니다.
페트병이 없어지는데 500년이 걸리는데, 이런 페트병을 새로 만들 때마다 발생하는 탄소의 양도 엄청납니다.
이왕 엄청난 양의 탄소를 배출하면서 만들어진 만큼 한번 만들어진 플라스틱이 재활용되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자원의 순환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원주시와 함께 '투명 페트병 자원 순환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GREEN 세상 투명 페트병 자원순환 프로젝트 기념행사'를 열고 프로젝트 시작을 알렸는데 원주시와 원주시 사회복지협의회 그리고 두 곳의 환경전문기업이 함께 프로젝트에 참여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협약기관과 함께 재활용 순환 경제를 실현합니다.
재활용 순환 경제를 실현하고 다양한 교육과 캠페인을 진행하고 다섯 기관의 협력으로 환경보호를 위한 자원순환 프로젝트가 진행됩니다.
자원순환 프로젝트로 페트병 무인 회수기를 설치한다고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달 말까지 원주시 곳곳에 페트병 무인 회수기를 설치합니다.
시민들이 다 쓰고 난 페트병을 이곳 무인 회수기에 투입해주면 이 페트병들은 회수기에서 파쇄돼 아주 작고 얇은, 플레이크로 변환됩니다.
이 플레이크를 활용해서 페트병들은 새로운 물건으로 재탄생합니다.
부산에 위치한 환경전문기업에서 이 플레이크를 이용해 세제용기, 인형 등의 생활용품과 잡화로 새롭게 제작합니다.
이렇게 재탄생한 물건들은 연말에 원주 사회복지시설에서 후원할 예정입니다.
순환경제로 환경 보호에도 기여하고 또 이웃들을 돕는 효과까지 기대되는데 페트병 무인 회수기는 이달 말까지 원주시 우산동과 학성동, 개운동, 판부명 행정 복지센터 이렇게 네 곳에 설치될 예정입니다.
혹시 주의할 점은?
단순히 재활용을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닙니다.
분리수거를 정확히 하지 않으면 이를 활용해 재탄생되는 물건의 품질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이웃들에게 돌아가는 만큼 자원 재활용에 함께 하실 때에는 분리배출에 좀 더 신경 써주시면 좋겠습니다.
설치된 자동무인 회수기에 수거함에 페트병 외에 다른 쓰레기가 유입되면 자동으로 정지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합니다.
비닐 표지를 제거한 투명 페트병만 정확하게 분리배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한번 만들어진 자원을 여러 번 활용하는 순환경제가 잘 이뤄질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의 적극적인 이용 바랍니다.
'알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악산국립공원에서는 여름 휴가철을 맞이해, 무료 셔틀버스를 운영한다고요? (0) | 2022.07.27 |
---|---|
뗏목축제? 아직도 뗏목이 있나? (0) | 2022.07.26 |
주택 임대소득 세제 어떻게 바뀌나? (0) | 2022.07.25 |
시골집은 집이 아니라고? 세제 개편안으로 본 주택수 (0) | 2022.07.25 |
도로교통법 뭐가 달라졌지? (0) | 2022.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