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하루하루 배워보자_ 뭐든
지식을 넓히자

빅스텝? 자이언트 스텝?.. 금리가 오르면 뭐가 달라질까?

by ##$$??<<>> 2022. 7. 22.
반응형

쉽고 간단하게 알아보는 금리 인상의 효과

 

얼마 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또 올렸습니다.

713일 기준금리를 0.5%0.5% 포인트 인상하는 대한민국 역사상 첫 빅 스텝을 실시했습니다.

기준금리가 연 1.75%에서 연 2.25%0.5% 포인트를 한 방에 올렸는데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를 인상한 것은 1999년 기준금리가 도입된 이후 사상 처음입니다.

정부가 기준금리를 올린 이유는 ‘6월 소비자 물가지수가 6%대를 찍었으니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는 건데 이걸 성공시키려면 기업과 개인이 돈을 많이 쓰지 않게 하는 게 핵심입니다.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시장에 돈이 많아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거예요.

그래서 시장에 돌고 있는 돈들을 은행이 흡수하도록 만들어 시장에서 돈의 가치를 올려야 하는 거예요.

동전 사진

실제 사례를 통해서 본 기준금리 인상 효과

 

먼저 가장 쉬운 것부터 가볼게요. 여러분들이 지금 은행 이자율이 1%1% 일 때 하고 5%5% 일 때 둘 중에 언제 더 저축을 많이 하겠습니까.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더 많은 이자를 받게 된다고 했으니까 개인들은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립니다.

이렇게 돈을 더 많이 쓸 수도 있었는데 돈을 아끼고 저축을 함으로써 시중에 있던 돈들이 은행으로 흡수됩니다.

지금은 매우 저축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기준금리가 올라가면서 예적금 금리 계속 오르고 있거든요. 지금은 예, 적금 금리가 연 5% 넘는 것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고 돈은 계속 은행으로 흡수가 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기업들은 대부분 돈을 빌려가지고 사업을 하고 있는데 기준금리가 올라가 버리니까 기업의 이자 부담이 엄청나게 늘었습니다.

그럼 기업들은 전보다 더 많은 이자 비용을 은행에 내야 되니까 순이익이 떨어지겠죠.

그리고 그만큼 은행은 기업들의 돈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돈을 흡수한다는 게 이론이 아니라 실제로도 일어나고 있는 현상입니다.

한 조사에 의하면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20개 기업이 1년 내에 갚아야 되는 유동부채가 1년 만에 11%나 늘었다는 조사가 있습니다.

기업들은 결국 신규 투자 줄이고 비용을 감축하는 등 긴축 경영으로 돌아설 것입니다.

 

지금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지금 대한민국의 주식시장마저도 타격을 입었습니다.

코스피 지수 작년 말까지만 해도 33천 선을 지켜냈었는데 지금은 2300대로 줄줄 흘러내리면서 주식 투자하시는 분들 정말 많이 고통받고 있는 중입니다.

주식 투자자들은 은행에 돈을 넣어두면 이자 수익이 높은데 굳이 위험한 주식 투자를 할 필요가 있겠습니까?

이렇게 사람들이 주식을 팔고 은행을 찾아 떠나면 그만큼 주식 시장에는 돈이 없어지고 사람들이 주식을 팔아 대니까 주가는 그만큼 하락합니다.

 

사실 가장 타격이 큰 시장이 바로 부동산입니다.

부동산 시장은 작년 말부터 주춤하기 시작하더니 지금은 떨어지지 않은 데를 찾기가 더 어려울 정도입니다.

금리 인상 때문에 집 사겠다는 사람들이 더 부담이 커지니까 집을 사겠다는 사람들이 관망세로 지켜보겠다는 입장입니다. 선뜻 집을 사기가 껄끄러운 상황이에요.

기준금리가 올라가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함께 올랐잖아요.

이제는 금리가 너무 올라 부담이 커진 거예요.

대출 금리가 계속 오르니까 부동산 소비 심리가 얼어붙은 거죠.

 

이것들이 바로 기준금리를 올렸더니 벌어지는 일들입니다.

 

반응형

댓글